미래 인구의 예측
28.2절에서 우리는 1991년 증가율(r = 2.3 %)로서 멕시코의 인구는 30년 후에 배가되어(0.69/0.023 = 30), 1991년의 8,570 만으로부터 2021년에 1억 1,100만이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과연 이러한 예측이 현실화될 것인가? 아무도 확실하게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개체군 증가는 다수의 요인들에 의존한다. 이 중에 일부는 합리적인 확신을 가질 수 있고 어떤 것은 그렇지 못하다. 추정될 수 있는 두 가지 중요한 요인은 개체군의 연령구조 (age structure)와 총 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TFR)이다.
총출산율
총출산율은 한 여성이 생존기간 동안 출산할 수 있는 아기의 평균수이다. 따라서 이는 한 부부가 가진 아기의 평균수가 된다. 이론적으로 TFR이 2가 될 때 각 부부는 그들을 대체하는 것과 같다. TFR은 평균을 의미함으로 물론 어떤 부부는 아기를 더 낳고, 어떤 부부는 적게 낳거나, 낳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적으로 각 세대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TFR은 2.1이나 2.2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대체율(replacement rate)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어떤 어린이들은 자기들이 자라서 두 아기를 다시 생산하기 전에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생존기대치가 낮은 나라에서 대체율은 보다 더 높아진다.
그러나 TFR이 2.1이라고 해도 반드시 영개체군 성장(ZPG)을 구현하지는 않는다. 만일 어떤 시기에 개체군이 이례적으로 많은 아기를 가졌다면, 그들이 아기를 낳을 수 있는 기간을 지날 때에-TFR이 2보다 높지 않더라도 개체군의 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미래의 증가에 대해서 추측하기 전에 개체군 연령구조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개체군 연령구조
개체군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보다 확실하게 알기 위해서는 개체밀도나 현재의 r값을 추정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임신은 대개 연령이 15세에서 44 세 사이인 여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래서 만일 개체군이 가임기간에 들어갈 젊은 사람의 비율이 높으면, 그 개체군의 증가율은 분명히 높아질 것이다. 1984년의 인도와 프랑스의 연령구조를 비교한 것이다. 남성과 여성의 상대적인 수(%)는 5년 연령군(또는 코호르트)으로 나타냈다. 인도 인구의 거의 20% 가 앞으로 가임될 수 있는 어린이 -15세 이하이다. 이러한 큰 연령군의 개체가 생식기간에 들어가면 그들은 TFR이 2가 되더라도 번식률 증가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반면 프랑스에서는 각 연령군은 늙은 연령일 때까지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개체군의 연령구조는 개체군의 최근의 치사율 유형도 반영한다. 기아와 병이 만연한 나라의 연령군은 인도와 같이 밑이 넓은 피라미드형이 된다. 프랑스(및 다른 서구 국가)에서는 거의 모두가 늙을 때까지 생존하므로 연령군은 전연 피라미드를 닮지 않는다. 그래서 TFR 이 두 나라가 같다고 하더라도 (실제로는 같지 않은데 - 인도는 3.9 이고 프랑스는 1.8임) 인도는 장래에 빠른 개체군 성장이 기대되고 프랑스는 그렇지 않다.
미국의 베이비 붐
미국의 TFR은 19세기 후반의 4부터 감소하여 1930년대 초반에 대체율 이하로 떨어졌다. 그러나 대공항기 동안 태어난 적은 수의 베이비가 어른이 되었을 때 그들이 어린아이를 많이 생산하는 번성기에 들어가 베이비 붐(baby boom)을 야기시켰다. 1957년에는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베이비가 탄생하였다. 피라미드는 1970년의 베이비 붐세대를 보여주고, 이는 1985년에도 나타난다. 이러한 돌출 연령군이 통과할 때에 심대한 변화가 우리 사회에 일어났다(예, 학교나 대학에서의 등록 문제). 흥미롭게도 베이비 붐세대는 또 자기 부모들같이 높은 TFR을 지향하지 않는다. 그들은 만혼하고 자기 부모들 같이 많은 아기를 낳지는 않는다. 따라서 베이비 붐세대는 대체율을 초과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영개체군 성장과는 같지 않다. TFR이 2.1이라도 이러한 큰 연령은 가임기간 동안 미국의 인구를 증가시킬 것이다(1991년의 r값 = 0.8%).
'Biology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의 생산성 (0) | 2022.07.16 |
---|---|
생물권을 통한 에너지 흐름 (0) | 2022.07.16 |
환경의 수용한도 (0) | 2022.07.13 |
개체군 성장에 대한 기타 밀도 - 의존적 제한 (0) | 2022.07.13 |
개체군의 성장 (0) | 2022.07.13 |
댓글